We’ve updated our Terms of Use to reflect our new entity name and address. You can review the changes here.
We’ve updated our Terms of Use. You can review the changes here.

하동 재​첩​캐​는 소리

by 최윤영

/
  • Streaming + Download

    Includes unlimited streaming via the free Bandcamp app, plus high-quality download in MP3, FLAC and more.
    Purchasable with gift card

      $2 USD  or more

     

1.
‘재첩캐는소리’-거랭이소리 (굿거리) *어렁성 어기여차 거랭이질 힘써 하세 갱조개가 풍년일세 1. 섬진강 푸른물은 백사장에 출렁이고 광평의 푸른솔밭 강바람 에 춤을춘다 2. 청천하늘 진달래꽃 고을고을 매화꽃에 하동포구 팔십리가 화개 라 꿈이로세 3. 형형색색 너른 들판 녹음방초승화시라 하얀 모래 푸른 물결 갱 조개가 넘쳐 난다 4. 손틀망 들고 너른 강을 1)건니가서 광주리 옆에 끼고 재첩 가득 잡아보세 5. 섬진2)갱빈 3)백사청송 두꺼비섬 나루진 밤에는 물 4)기럽고 낮 에는 임 기럽아 6. 갱조개도 마이 잡고 임도 보고지고 5)겸사수사로 섬진강에 갱조 개를 캐러 가 세 7. 손틀로 6)강바당을 긁고 7)씰어서 누린재첩 거믄재첩 8)연화방초 같읍디더 8. 섬진갱빈 개망초꽃 허옇게 피어나서 누굴 그리 기다리며 종일 토록 서있는가 9. 토깽이풀 따다 꽃반지 주고 토깽이풀 또 따다가 우리 할마이 하 얀쌀밥 술도 한잔 줄까 10. 지리산 칭칭감은 이슬안개 맞으며 섬진강 모래펄속 9)맹화 같 은 재첩들아 11. 타향살이 지친 시름 재치국에 한 잔 드소 일렁일렁 은빛 물결 하동포구 닻 올리세 12. 지리산연봉 오백리길 물결따라 흘러 흘러 하동포구 머리우에 섬호정이 굽어 본다 13. 섬진강 푸른 물은 굽이굽이 돌아가고 무한세월 흘러흘러 휘돌 아 돌고 에돌 아간다 14. 섬진갱빈 지천으로 널린 풀꽃들이 허연색꽃 뽈간색꽃 재칩같 은 노린색꽃 15. 산천이 곱아 네 여게 왔나 갱조개 볼라꼬 여게 왔나 놀리가자 놀리가자 하동송림 놀리가자 16. 겨우내 강바당 숨어있는 10)갱조개 니언지 11)흰살키 꺼내주고 가려노 17. 섬진갱빈 재첩 잡이 얼싸좋다 가세 절싸좋아 섬진갱빈 재첩잡 이 가세 17. 섬진강 물줄기 굽이굽이 뱃사공 12)제시인간별유천이 분명하 구나 18. 지리산속 세월을 기다리는 독활꽃 뭐가 그리 힘들어 예까지 왔 누나 19. 섬진강 고운자태 보기는 조을새 사람 사는 슬픈 세월 13)낙화 유수 같구나 20. 새초롬한 각시처럼 14)자색 얼굴 디밀고 해마다 보는 니 모습 새애기 얼굴 21. 강에 온몸 매달려 산지 삼십년 철마다 꽃피고 때마다 재첩일세 22. 싯누런 빛깔로 햇볕에 그을린 채 이제나 저재나 언제나 오려나 23. 15)질가집 담장에 하늘 향해 입벌리고 펄레당 펄레당 16)수갑사 댕기 나팔꽃 24. 문짝도 없는 집일랑 삽살개가 지키고 17)날마당 덜마당 재첩만 캐나 25. 섬진강 기수역 나무와 꽃 강과 들 없는 것이 없는데 임의 맘은 없더라 26. 재첩 한가득 잡아 함지박에 담고 임이 18)이게 자테 오거들랑 봄놀이 가자 고 꾀어나 보련다. *어렁성 어기여차 거랭이질 고만 하세 갱조개가 바닥일세
2.
‘재첩고르는소리’(자진모리) *어기야차(어기야차) 에이용 에야(에이용 에야) 어허루 거래 야~ 어화 어화 어화 이여차~ 에화 에화 어허루 거래이 어기야차 (어기야차) 1. 19)가막조개 어서잡아(어기야차) 이어렁성 거래이야 2. 내가 잡은 이 재첩이(어기야차) 아들 서넛 20)장개보네 3. 섬진강 기수역에(어기여차) 재첩떼가 춤을 춘다. 4. 재첩이면 하동재첩(어기여차) 임금님 진상 담아 올려 5. 억수만금 21)버실아 갖고(어기여차) 부모형제 살리 보고 6. 우리 손으로 재첩을 잡아(어기여차) 국태민안 이뤄나 보세 7. 우리 배로 재첩 잡아(어기여차) 어서어서 22)하륙 하세 8. 내일도 오모 23)만선이요(어기여차) 모레도 나오모 만선 일세
3.
잦은 재첩타령 야하여허 (야하여허) 야하여허 (야하여허) 우리 24)동사 (야하여허) 소리도 잘하고 (야하여허) 인물도 좋고 (야하여허) 일도 잘하네 (야하여허) 재첩 풍년 (야하여허) 방방곡곡 (야하여허) 논도 사고 (야하여허) 밭도나 사고 (야하여허) 부모 형제 (야하여허) 봉양도하고 (야하여허) 남거들랑 (야하여허) 나라 보양도 (야하여허) 하여나 보세 (야하여허) 물때가 되면은 (야하여허) 거랭이 끄고가 (야하여허) 귀한 재첩을 (야하여허) 종자만 두고 (야하여허) 다 잡아 들이라 (야하여허) 섬진강 재첩을 (야하여허) 세상에 알리세 (야하여허) 야하여허 (야하여허) 야하여허 (야하여허) 야하여허 (야하여 허) 야하여허 (야하여허) *어기야차(어기야차) 에이용 에야(에이용 에야) 어허루 거래 야~ 어화 어화 어화 이여차~ 에화 에화 어허루 거래이 어기야차 (어기야차) 어렁성 거래~이야(느리게) 에후후후후~(마지막 이물질과 돌멩이를 바다에 던지며) 어여차!!!(마지막 고르기한 재첩을 통에 힘껏 부으며)

about

이 음원은 하동군의 의뢰를 받아 제작한 민요로 섬진강에서 나는 재첩에 관련된 가사, 기사, 글, 영상 자료들을 수집하고 하동지역의 특징과 지리적인 개관을 살펴 본 다음 그 지역 민요를 채보하여 음악적 특징을 도출하고 공통적인 특징을 검토하여 하동지역에서 전승될 만한 음악적 특징을 가진 민요를 작창하였다.

재첩캐는 소리의 창작 계획 : 하동 「 재첩캐는소리 」
우리 민요는 노동요, 유희요, 의식요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그 중 노동요는 농산노동요, 축산노동요, 임산노동요, 수산노동요, 공산노동요, 토건노동요, 운수노동요, 광산노동요, 상업노동요, 가사노동요로 세분화 할 수 있다. 그 중 ‘재첩캐는소리’는 수산노동요로 분류할 수 있으며 수산노동요는 다시 세분화하여 고기잡이요(배내리는소리, 그물싣는소리, 닻감는소리, 돛다는소리, 삿대질하는소리, 어부노젓는소리, 고기모는소리, 그물내리는소리, 그물당기는소리, 고시낚는소리, 고기푸는소리, 돈대질하는소리, 고기터는소리, 뱃간닦는소리, 어로뒤풀이하는소리, 배올리는소리)와 해물채취요(미역따러가는소리, 미역싣는소리, 조개류캐러가는소리, 조개류캐는소리, 해
녀노젓는소리, 해녀헤엄치는소리) 로 나눌 수 있다.

그러므로 〈재첩캐는소리〉는 노동요 중 수산노동요에 속하며 그 중 해물채취요에 속하는 민요라 할 수 있으며 재첩을 위의 분류에 따라 「재첩캐러가는소리」와 「재첩캐는소리」의 형태로 민요를 만들 수 있겠으나 이번 작업에서는 재첩을 채취하는 형태가 두가지의 형태로 분류가 되므로 재첩을 캐러가는 소리는 불필요하고「재첩캐는소리」를 가창자가 혼자 독백처럼 부르는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이것은 ➀형망을 이용한 배 작업과 ➁거랭이라 불리는 도수망을 이용한 수작업이 같은 형태로 부를 수가 있다. 다만 ➀의 채취 형태는 주로 남성들이 배를 운전하여 형망을 끌어당기고 그것을 남성이 힘든 삽질을 하여 배 위에서 부산물을 거르는 작업을 하는 형태가 일반적이고 ➁의 수작업은 대부분 여성들이 재첩을 수작업으로 걷어 올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성별의 차이는 있으나 혼자서 기나긴 시간을 하는 작업들이라 독백형태의 4)〈군음〉의 형태로 신세관련담 말하는 소리가 내용의 주를 이룰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➀의 작업에서 2차 선별 작업은 뭍으로 와서 여성들이 공동으로 작업을 하는 부분이므로 논이나 밭에서 일하는 것과 같은 노동요의 형태로 나눠서 구분하여 부를 수가 있겠다.

하동지역의 민요의 특징 : 일반적으로 민요는 기능적으로 노동요, 유희요, 의식요로 구분하여 연구한다.
하동의 민요 14곡을 채보하고 분석하여 노동요 8곡, 유희요 4곡, 의식요2곡에 대한 음악적 특징과 일반 음악적 특징을 도출하여 분석하였다.
그런데 본 작업에서는 ‘재첩캐는소리’가 노동요에 속하는 행위이므로 위의 조사한 14곡의 민요 중 노동요만 주의 깊게 살펴보기로 하고 나머지는 다른 지역의〈밭매는소리〉와 수산노동요 중심으로 그 형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기조사한 14곡 민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장단은 3소박 형태로 되어 있으며 3소박 4박이나 6박으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인 것을 알 수 있다.
메나리 4곡, 경토리 7곡, 육자백이가 1곡으로 경토리가 많은 퍼센트를 차지하는데 실상은 지리적으로 메리토리와 육자백이토리가 혼재되어 있는 지역이므로 하동의 여건상 옛날에 사당패나 장돌뱅이들이 민요를 많이 불러 전승한 결과 경토리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추측하고 본 사업에서는 섬진강이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팔공산에서 발원하여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금성면을 지나 광양만으로 흘러드는 하천임을 고려하여 그 두 지역 고유의 음조직을 받아들여 메나리토리와 육자백이토리로 민요를 창작하였다.
빠르기는 느린곡이 대다수를 차지하므로 처음에는 독백체의 느리고 전문적인 곡으로 시작하여 보통빠르기 정도의 교환창 민요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 이유는 재첩을 캐는 자체가 노동에 속하고 주로 그 형태가 혼자서 일을 하는 형태도 보이지만 재첩을 선별하는 작업은 소수의 인원이 같이 공동 작업을 하므로 공동 노동을 할 때 불리었던 민요도 이어서 만들었다.

credits

released June 1, 2023

license

all rights reserved

tags

about

gogeum Seoul, South Korea

contact / help

Contact gogeum

Streaming and
Download help

Report this album or account

If you like 하동 재첩캐는 소리, you may also like: